-
[TIL] 0117카테고리 없음 2024. 1. 17. 20:58
웹 브라우저
- 웹 서버로부터 정보(HTML, CSS, Javascript)를 요청하고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소프트웨어
- 정적인(static) 파일, 동적인(dynamic) 정보 처리
URL (Uniform Resource Locator)
<프로토콜>://<서브/ 메인 도메인 명>:<포트>/<경로> 의 구조
통신방식
사용자의 URL입력
웹 브라우저가 입력된 URL을 DNS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IP 주소 검색
DNS(Domain Name Service)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경
웹 브라우저가 해당 IP주소로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요청 전달
IP주소에 연결된 웹 서버는 요청을 받아서 처리
웹 서버는 처리 결과를 HTTP response 로 브라우저에 전달
웹 브라우저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표시
IP(Internet Protocol) :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해당하는 장치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한 주소
32비트 (8비트 4그룹) 의 IPv4 체계였으나,
128비트 (16비트 8그룹) 의 IPv6 체계가 도입
HTTPS
HTTP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암호화 기능이 포함된 통신 프로토콜
의사 표현의 수단: (현실 세상) 말 ↔ (디지털 세상) 네트워크
의사 표현의 방법: (현실 세상) 언어 ↔ (디지털 세상) 통신 규약
개발자 도구 (F12) - Network
Headers : 브라우저가 어떤 페이지를 원하고, 페이지를 성공적으로 찾았는지에 대한 데이터
Response : 웹 페이지를 그리기 위한 데이터
HTTP Method
GET : 어떤 리소스를 얻을 때 사용/ 서버에 보내는 모든 요청방식
POST : 웹 서버에 데이터를 게시할때 (회원가입, 게시글, 댓글 등)
Payload (실질적 데이터)
GET method 를 제외하곤 모두 Payload 를 보낼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