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[TIL] JWT token카테고리 없음 2024. 4. 3. 10:26
: 유저의 정보를 Base 64 로 인코딩된 String 값에 저장하는 도구 특징 1) Header, Payload(주요정보), Signature 로 구성 2) 서버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에서 저장 3)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낼 때 JWT Token ID 를 같이 보내면 사용자가 누구인지 서버에서 알 수 있다. 4) DB에 저장되지 않고, Signature 값을 이용해서 검증할 수 있음. 5) 정보가 모두 토큰에 담겨있어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음 refresh token : 엑세스 토큰을 발급받을 때만 사용이 되어 유효기간이 길다. access token : 유효기간이 짧다. / 검증용 토큰 Encryption (암호화) : bcrypt (비밀번호 암호화) , md5 , sha1
-
[TIL] 웹소켓 -> Socket.io카테고리 없음 2024. 4. 1. 21:04
기존 요청과 응답의 관계는 단일방향이라는 문제점 존재 웹소켓 사용으로 요청과 응답의 경계가 없어짐. 사용자가 무언가는 눌러야지만 응답이 가능했지만, 서버에서 무슨 일이 있을 때 사용자에게 응답을 줄 수 있다. Socket IO : 웹소켓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만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: low-latency (낮은 지연시간), bidirectional (양방향 소통), event based (이벤트 기반) on : 특정 이벤트 listening 함수 emit : 특정 이벤트 전송 함수
-
[TIL] 면접카타카테고리 없음 2024. 3. 29. 11:46
5. HTTP 메서드 :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의 목적 및 종류를 알리는 수단 GET: 서버에 데이터 조회 시 사용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쿼리를 통해서 전달 POST: 요청 데이터 처리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처리 주로 신규 리소스 등록,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 PUT: 리소스 대체, 해당 리소스가 없다면 생성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의 URI를 알고 지정함 PATCH: 리소스 부분 변경 DELETE: 리소스 삭제 HEAD: GET과 비슷하지만 메시지부분을 제외한 상태줄과 헤더만 반환 OPTIONS: 대상 리소스에 대한 통신 가능 옵션을 설명 CONNECT: 대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너를 설정 TRACE: 대상 리소스의 대한 경로를 따..
-
[TIL] 면접카타카테고리 없음 2024. 3. 27. 22:54
23. 프로세스와 쓰레드, 그 차이 : 프로세스 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 의 할당을 받는 것 : CPU 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, 프로세스가 생성되고, 메모리에 프로세스 주소 공간 (코드, 데이터, 스택 영역)이 할당되어 이 프로세스의 메타데이터가 PCB(Process Control Block,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)에 저장된다. :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프로세스가 된다. : 쓰레드 는 프로세스의 실행 단위로, CPU 입장에서의 작업 단위 / CPU 스케줄러가 CPU 에 전달하는 일 하나가 쓰레드 : 프로세스와 쓰레드 의 차이점 => 프로세스는 완벽히 독립적이기 때문에 메모리 영역(code, data, heap, stack)을 다른 ..
-
-
[TIL] entity, DTO카테고리 없음 2024. 3. 20. 20:58
entity => DB 에 들어가는 아이로 스키마 같은 느낌 DTO => 조건 같은 것, 들어온 데이터가 DTO 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고, controller 로 넘어감 controller => param , body 등의 req 로 데이터를 받아옴. dto 와 entity 를 비교하자면 같은 청소인데 쓸기 와 닦기 처럼 역할이 다른 것. DTO(Data Transfer Object) : 데이터 저장 담당 클래스로 계층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 : 로직 없이 순수한 데이터 객체로 getter, setter 메소드만 가진다. : 로직의 효율성 증가, 레이어 간의 역할 분리, 데이터 전송하기 위한 직렬화 메커니즘 캡슐화 Controller : 요청 url 에 따라 view, mapping 처리 : 적절..